Surprise Me!

[차이나워치] 유럽의회, 베이징올림픽 거부 결의…中 "내정간섭"

2021-07-09 0 Dailymotion

[차이나워치] 유럽의회, 베이징올림픽 거부 결의…中 "내정간섭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럽의회가 내년 베이징올림픽 참가 여부를 걸고 중국을 향해 홍콩 인권상황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스포츠의 정치화를 반대한다며 강력 반발했는데요.<br /><br />베이징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 임광빈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먼저 유럽의회의 결의 내용부터 전해주시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럽의회가 현지시간 8일, 홍콩 인권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내년 베이징동계올림픽을 보이콧 하라고 회원국에 권고하는 결의안을 처리했습니다.<br /><br />결의안 찬성 의원이 578명, 반대 29명, 그리고 기권 73명이었는데요.<br /><br />압도적인 표 차이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결의안에는 홍콩 반중매체 빈과일보가 '강제 폐간'됐다고 규정하며 이를 강력히 비판하는 내용이 담겼는데요.<br /><br />홍콩 인권침해 상황에 책임이 있는 개인과 단체의 제재를 EU 회원국에 촉구하는 한편 중국에는 홍콩 국가보안법 폐지를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의 반응이 궁금한데요.<br /><br />어떤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중국은 해외에서 관련 내용을 지적할 때마다 내놓았던 반응을 이번에도 변함없이 반복했습니다.<br /><br />'중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말라'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유럽연합 EU 주재 중국 사절단 대변인은 이번 결의안에 대해 "흑백을 전도하고 국제 관계의 기본 규칙을 어긴 것"이라면서 "내정 간섭에 강한 불만과 결사반대 의사를 표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홍콩보안법 시행 1년 만에 홍콩의 법치 질서가 회복되고 정상화가 가속되고 있다고 강변했는데요.<br /><br />홍콩 경찰이 빈과일보 압수수색에 나선 것을 두고는 "국가 안보를 저해하는 개인과 회사에 대해 엄격한 단속을 하는 것"이라며 언론의 자유와는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스포츠의 정치화를 반대한다면서, 베이징 올림픽 준비와 개최를 간섭하는 것은 매우 무책임하고 각국 선수들과 국제올림픽위원회에 피해를 주는 것이라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유럽의회의 결의안은 말 그대로 권고하는 내용으로 구속력은 없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이 강력 반발하면서 유럽과 중국 간 긴장이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만을 둘러싼 미중 간 긴장 상태도 최고조로 치닫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를 반전시킬 만한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어떤 내용인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커트 캠밸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인도태평양조정관의 발언이 주목받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캠벨 조정관은 지난 6일 열린 한 화상간담회에서 대만 문제와 관련해 미국은 대만과 비공식적 관계를 지지하지만,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지는 않는다고 밝힌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여기에 포함된 민감성을 이해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두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신문은 미국이 대만과 관련해 정교한 균형을 잡고 있으며, 대만에 대한 미국 지원의 한계선을 시사한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넘어서는 안 될 선을 굳이 넘지는 않겠다는 신호를 중국에 보냈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"대만의 독립 도모를 단호히 분쇄"하겠다는 지난 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공산당 100주년 기념 연설 이후 나온 발언이라는 점에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'중국판 우버'로 불리는 디디추싱의 뉴욕증시 상장 이후 중국 당국이 자국 기업의 해외 증시 상장을 강력 규제하고 나섰는데요.<br /><br />자국 기업의 해외증시 상장을 사실상 허가제로 전환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사이버 안보당국인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이 자국 기업의 해외 증시 상장을 중단하는 권한을 갖게 됐습니다.<br /><br />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4년 설립한 인터넷 감독 기관인데요.<br /><br />최근 뉴욕증시 상장 이후 중국 당국의 표적이 된 디디추싱을 조사하는 기관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현재 중국에는 기업들이 해외 증시에 상장하기 전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규정은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이번 조치로 사실상 중국 기업은 당국의 허가 없이는 해외증시에 상장하는 게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의 조치는 데이터 안보와 국경 간 데이터 이동, 비밀 유지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요.<br /><br />시장에서는 미중 간 갈등이 첨예한 상황에서 중국이 자국 기술 기업의 민감한 지리 정보나 고객 정보가 대량으로 미국 측에 흘러갈 가능성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분위기 속에서 중국의 한 의료 빅데이터 업체가 미국 증시 상장 계획을 돌연 보류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 당국의 강력한 통제도 통제지만, 이렇게 당국의 눈 밖에 난 기업들을 향한 마녀사냥식 공격도 만만치 않다고 하던데요.<br /><br />어떤 수준인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디디추싱이 미국 뉴욕증시 상장 이후 국가안보 위해 혐의로 중국 당국의 조사를 받게 되자, 중국의 SNS 웨이보에서는 '디디추싱 앱 퇴출'이라는 해시태그가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기사를 옮긴 SNS에는 디디추싱을 비난하는 댓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반역자', '미국의 애완견' 등 거친 표현도 등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댓글은 관변 매체들이 받아 또다시 확대 재생산하며 공세를 퍼붓는 모습인데요.<br /><br />이런 분위기 때문에 디디추싱도 뉴욕증시 상장 이틀 만에 국가보안법 심사 대상이 되자 즉각 성명을 내고 바짝 엎드리는 모습을 보였는데요.<br /><br />"주무 부처가 디디추싱의 위험 요인을 조사해주는 것에 진심으로 감사하고, 진지하게 개선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에서는 이른바 '좌표 찍기' 대상이 될 경우 대부분 무차별 공격을 받게 되는데요.<br /><br />인권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는 신장 면화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한 패션브랜드 H&M은 분기 판매량이 30% 가까이 감소했고요.<br /><br />최근 홍콩에서 발생한 경찰관 피습 사건과 관련해, 용의자가 다녔던 한 음료 회사는 불매운동 대상이 되면서 광고 모델들이 계약 해지를 선언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분위기는 최근 애국주의를 부추기는 분위기와 맞물려 더욱 가열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